본문 바로가기

부자될거/암호화폐

에이다 2030년 최소 100불 가능한 이유

반응형

출처: 유튜브, 알트코인 Ltd 채널
제목: 카르다노 에이다[ADA] 2030년 가격전망 예측 [스마트컨트렉트 이후] (21.09.13) https://youtu.be/QidsDa4JzaQ

출처: 알트코인 Ltd 유튜브 / 21.09.13



<카르다노 에이다가 시작된 이유>

* IOHK 유튜브 채널 찰스호스킨슨 인터뷰

1) 예금 조차 할 수 없는 30억 인구
- 전 세계 인구 80억 중 30억이 은행 예금과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에도 닿지 못하고 있음
- 아프리카 대륙 인구는 14억명
- 제대로 된 신원, 사회기반시설, 금융시설 없이는 가난에서 벗어나기가 매우 어렵다
-> 그런 상황에서 30억명이 살고 있음
- 인재 유출 (brain drain) 발생
- 기본적인 사회기반 시설이 있는 곳으로 이주 (구글의 CEO는 인도 출신)
-> 국가간 빈익빈 부익부 심화


2)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?
- 선진국 인재가 개발도상국에 가서 어떻게 하면 선진국이 될 수 있는지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
- 글로벌 인프라 스트럭쳐 (기반시설) 를 만들어서 부자든 가난하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모두에게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

3) 첫 국가로 에티오피아 선정
- 지정학적으로 기둥적인 역할
- 아프리카 협회, 아프리카의 중심
- 신기술 수용에 오픈마인드
- 중고등학생 500만명 모집
- 블록체인과 Haskell 교육
-> 실생활에서 마주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할 수 있도록 함

에티오피아 5백만 학생, 선생님 블록체인 교육








<그게 가능해?>


1) 인터넷 보급도 안됐는데?
-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사용도 잘 못하는데

2) 그건 그렇지.
- 그래서 다양한 단체들과 파트너쉽을 체결하며 차근차근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중
- WMT (월드 모바일 토큰) : 아프리카 대륙에 인터넷 보급을 목표로 프로젝트 진행 중

WMT, 아프리카 인터넷 보급 프로젝트 진행중


3) 협업을 통한 사회기반시설 마련
- 그리고 여기에 블록체인 기술을 더해 자국민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
- 인재 유출이 점점 줄어들면서
- 자연스럽게 GDP 상승
-> 이러한 아프리카 대륙의 GDP와 그 상승분이 카르다노 에이다를 통해 이루어진다면?





<에이다 현 상황>


1) NFT 시장의 급격한 성장 (CNFT)
- 이더리움 NFT 시장 규모와 거의 비슷함 (21.09.12 기준)

이더리움 NFT 규모와 거의 비슷해진 카르다노 NFT


2) 디파이 시장 규모는 86 billion (약 100조원, 21년 9월 기준)
- 거의 모든 디파이는 이더리움 기반
- 높은 수수료는 고질적 문제

3) 암호화폐 총 시총
- 2013년 1.5 B (1조 7천억원)
- 2021년 2 T (2,390조원) ; 1,300배 상승
- 2030년 안에 10~20배 상승 예상 (보수적 관점으로)
- 카르다노 도미넌스 4%

각 코인별 도미넌스








<에이다의 가능성>


- 만약에,
- 2030년 암호화폐 총 시총이 20 T (지금의 10배)가 되고
- 카르다노 도미넌스 4%로 유지 된다면
-> 카르다노 시총은 800 B (958조원, 지금 시총의 9배)
-> 에이다 가격 최소 24$

- 그런데 과연 카르다노 도미넌스가 4%밖에 안될까?
- 이더리움 일부가 카르다노로 흡수되고
- 새롭게 유입되는 모든 아프리카 경제 자금들이 에이다로 들어온다면
-> 카르다노 도미넌스 10~20% 예상

- 2030년 카르다노 도미넌스 20% 라면,
-> 카르다노 시총 4T (4,792조원, 지금 시총의 46배)
-> 에이다 가격 120$ 이상




반응형